인증 소개

인증제도의 역할은 무엇인가?

  • 인증된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이 실제 산업 현장에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음을 보증한다.
  • 해당 교육 기관이 인증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와 세분화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이 인증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 공학 교육에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의 도입을 장려하며, 공학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자문에 응한다.
  •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력을 갖춘 공학 기술 인력을배출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공학교육인증 수여의 주체는 어디인가?

공학교육인증 평가, 판정 및 수여의 주체는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 이하 공인원)이다. 공인원은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함으로 써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 로 1999년 8월에 설립되었다. 공인원은 설립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사회, 운영위원회, 산업체 자문위원회, 공학인증평의회(EAC), 컴퓨터정보기술인증평의회(CAC), 공학연구센터, 공학교육 평가센터 등의 기구를 가지며, 운영위원회 산하에는 인증사업단, 대외협력위원회, 교육정보 위원회, 정책개발위원회, 홍보편집위원회, 사무처 등이 있다.

공학교육인증 수여의 주체는 어디인가? zoom in

ABEEK Cycle

순환 : 소프트웨어대학 → 졸업생 → 산업체(공학현장) → 인증 요구사항 → 공학교육인증 → 인증

공학교육인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공학교육인증 특징 zoom in
  • 전공분야별로 인증
  • 학사과정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보다 교육에 치중
  • 희망 대학에 한해서 인증
  • 양적 평가가 아니라 교육 내용의 충실도 평가
  •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능력 및 자질배양에 초점

공학교육인증 수여의 주체는 어디인가?

선진국에서는 공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개혁 및 내실화를 추진하고 있다. 공학교육의 국제 상호인증에 관한 국제협정(Washington Accord)을 통해 미국 공학교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ABET)의 인증제도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ABET은 29개 미국 공학계 전문단체의 연합체로서, 미국 공과 대학의 95%가 ABET 인증에 참여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일본 기술자 교육인정제도(JABEE)를 시행하고 있다. ABEEK이 Washington accord에 가입 되었으므로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대학의 ABEEK 과정 을 이수한 졸업생은 국가에 관계없이 국제적인 1급 엔지니어로 인정을 받게 된다.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지향하는 공학교육은 어떠한 모습인가?

공학교육인증제도는 "성과중심 교육 (outcomes-based education)"과 "수요지향 교육(demand-driven education)"을 지향한다.

  1. 성과중심 교육체제

    공학교육인증제도가 제시하는 두 가지 중요한 성과는 교육목표(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PEO) 달성도와 학습성과(Program Outcomes, PO) 달성도 이다. PEO의 달성도는 졸업 후 일정기간(3~5년)이 경과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고용주인 산업체에서의 의 견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PO의 달성도는 졸업예정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교과과정과 비 교과과정에서의 성취도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PEO의 달성도와 PO의 달성도를 프로그램에서 목표로 하는 수준과 비교하여, 이들의 수준이 목표치에 이르지 못하면 그 원인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교수학습법, 교육시설 등을 개선한다. 이러한 개선절차는 1년 단위로 순환되어 실시된다.

  2. 수요지향 교육체제

    교육목표와 학습성과, 이들의 달성도 수준을 정하는 것은 따라서 프로그램운영 전반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을 정하는 주체는 철저히 교육활동의 수요자 즉 관련 산업체가 되어 야 한다. 부수적으로 교수와 학생 등 교육활동의 참여자들의 의견도 수렴되어 반영된다. 이러 한 의견 수렴 절차를 통해 교육목표와 학습성과 자체, 달성도 수준, 평가방법 등의 전반적인 교육체제를 개선한다. 이러한 개선절차는 1~3년 단위로 순환되어 실시된다.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혜택은 무엇인가?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혜택 zoom in
  • 학생
    • 기본소양과 전공기반 실력과 자질 햠양
    • 적성에 맞는 전문능력계발
    • 엔지니어 자격시험(기사, 기술사 시험)에서 유리
    • 사회 진출 시 취업이 유리
    • 국제적인 엔지니어가 될 수 있는 입문자격
  • 대학
    •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립하여 운영
    •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평가 및 검증할 자체 평가시스템 구비 가능
    • 실험실습 및 학술활동 시스템의 확충
    • 인증 획득시 졸업생의 취업 기회 확대 및 우수 신입생 선발 가능
  • 산업체
    • 전문 능력과 자질을 갖춘 졸업생 채용 및 경쟁력 강화
    • 사내교육기간 감소 및 경비 절감 효과
    • 업무처리 효울성 제고
    • 부서간 업무 협조 활성화 및 대외활동 유리
  • 국가·사회
    • 현실성 있는 교육 제공
    • 공과대학 교육의 국제적 인정
    • 공학프로그램의 체계화 및 공학교육의 효율성 제고
    • 국가 교육정책수립에 이바지
    • 산업체 및 국가 경쟁력 향상

공학교육인증을 받기 위해 학생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에의 참여는 정해진 일부 예외규정에 따른 비참여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참여를 선택한 학생은 다음과 같은 규정을 지켜야 한다.

    • 프로그램에서 인증에 필요한 과목으로 지정한 교과목들을 이수체계에 따라 이수해야 한다.
    • 교수와 지속적인 상담을 통하여 충분히 상호교류 함으로써 학업과 진로에 대한 시기적절한 지도와 조언을 받아야 한다.
    • 자신의 학생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학사관리시스템, 공학인증전산 시스템 등에 자신의 학생포트폴리오 및 특기사항에 관한 최신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 수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과 개선을 위한 수업평가(일반강의평가 이외에 공학교육인증평가진행)에 참여해야 한다.

KCC2024란?

공학교육인증을 받고자하는 컴퓨터․정보기술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은 4년 이상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음의 8개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컴퓨터․정보기술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은 수요지향 교육 및 성과중심 교육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KCC2015
프로그램 교육목표 프로그램 학습 성과 및 평가 교과영역 학생
교수진 교육환경 교육개선 전공분야별 인증기준
프로그램 교육목표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은 산업체를 포함한 구성원의 요구 와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교육기관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프로그램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공개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 교육목표의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시 개정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학습 성과 및 평가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이 졸업하는 시점까지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학습 성과를 프로그램 교육목표와 부합하도록 설정하고, 적합한 절차에 따라 성취도를 평가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교육목표와 부합하도록,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설정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자체적으로 정의한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추가할 수 있다.
    • 수학, 기초과학, 인문 소양 및 컴퓨터·정보(공)학 지식을 컴퓨팅 분야의 문제 해결에 응용 할 수 있는 능력
    • 이론이나 알고리즘을 수식 또는 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검증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정의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 적 절한 도구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사용자 요구사항과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 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 력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팅 분야의 해결방안이 안전, 경제, 사회,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 력
    • 컴퓨터정보(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 프로그램은 설정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별로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은 수립된 평가체계에 따라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교과영역

컴퓨터·정보(공)학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교과과정은 교과영역별 최소 이수학점을 만족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야 하 고 교과목 운영 실적이 관리되어야 한다.

  •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 수학과 기초과학 교과목을 12학점 이상 이수하도록 편성하여야 한다.
  • 컴퓨터·정보(공)학 주제 교과목을 설계 및 실험·실습 교과목을 포함하여 45학점 이상 이수 하도록 편성하여야 한다. 단, 설계 교과목에는 기초설계 및 종합설계 교과목을 포함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교양 교과목을 이수하도록 편성하여야 한다.
학생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학생을 충실하게 지도해야 한다.

  •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교과목 이수와 학습을 포함한 학생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 프로그램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졸업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수진

교수진은 전문가적인 자질을 갖추고, 프로그램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 교수진은 교과과정을 충분히 다룰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을 충실히 지도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야 한다.
  • 교수진은 프로그램의 교육개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 교육기관은 교수의 교육개선 활동을 업적평가에 반영하여야 한다.
교육환경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은 충실한 교육에 필요한 환경을 구축하여야 하고, 교육기관 은 이를 지원 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행정체계가 있어야 한다.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재정, 공간, 시설, 장비가 확보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행정 및 교육보조 인력이 적절하여야 한다.
교육개선

컴퓨터·정보(공)학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결과와 교과과정 운영결과를 분석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 운영결과에 대한 내외부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여야 한다.